조한창 재판관 임명의 잠재적 결과 분석: 헌법재판소의 향후 변화와 우려

헌법학자 이범준과 한동수 변호사는 조한창 재판관 임명이 헌법재판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제시했습니다. 그들은 재판 지연 가능성과 그 배후에 숨겨진 의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헌법재판소가 직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헌법재판관들에게 헌법의 가치를 지키고 용기를 갖고 판단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조한창 재판관
조한창 재판관


1. 조한창 재판관 임명 배경에 대한 의혹

조한창 재판관 임명의 배경에 대해 여러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왜 조한창을 임명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등장하며, 한덕수 총리 탄핵 심판과의 연관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 임명 배경: 조한창 재판관은 국민의힘 추천으로 임명되었고, 과거 광우병 관련 재판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가 맡은 야간 옥외 집회 관련 재판은 외국인 전담 재판부에서 진행된 바 있습니다.
  • 가족 배경: 그의 장인은 전두환 정권 시절 정동호 장군이었다는 점도 임명 배경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퇴직 후 경력: 조한창 재판관은 퇴직 후 법무법인 도울에서 활동하다가 헌법재판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2. 재판 지연 및 소추 사유 동일성 문제 제기 가능성

조한창 재판관이 재판을 고의로 지연시키거나, 소추 사유의 동일성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재판 지연: 한동수 변호사는 일부 재판관이 고의로 사건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하며, 이는 내란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소추 사유 문제: 조한창 재판관은 "소추 사유의 동일성과 관련해서 형법상 뇌물죄도 들어온다"며 합의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또한, 증거 채택 문제에 대한 논란이 계속될 경우, 재판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3. 헌법재판소 기능 마비 및 재판관 탄핵 가능성

헌법재판소의 기능이 마비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만약 헌법재판소 재판관 수가 5인 이하로 감소할 경우, 기능 정지탄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재판관 수 감소: 4월 18일까지 선고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두 명의 재판관이 퇴임하게 되어 재판관 수가 6명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 경우 헌법재판소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
  • 탄핵 우려: 헌법재판소 기능이 마비되면, 헌법재판관의 탄핵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4. 헌법재판관의 역할과 용기의 중요성

한동수 변호사는 헌법재판관, 특히 재판장의 역할을 맡은 문영배 재판관의 용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는 헌법재판관들이 외부 세력과의 타협 없이 헌법에 따라 소신껏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헌법재판소존재 의의를 강조했습니다.

  • 소신 있는 판단: 헌법재판소의 존재 이유는 외부 압력에 휘둘리지 않고, 오직 헌법의 가치를 지키는 데 있다고 강조됩니다.

결론: 조한창 재판관 임명이 미칠 영향

조한창 재판관의 임명은 헌법재판소의 정치적 중립성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의 임명이 가져올 재판 지연 가능성과 그 배후에 숨겨진 정치적 의도에 대한 분석은 향후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헌법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재판관들의 용기헌법 가치 수호가 더욱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앞으로 헌법재판소가 외부 세력에 휘둘리지 않고, 독립적이고 공정한 판단을 내려야 할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헌법학자 이범준이 예상하는 헌재 현 상황! 한동수의 촉! “최상목은 왜 조한창을 임명했을까?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든다!” |[김은지의 뉴스IN] 250327 방송

https://youtu.be/vT1ZQfF6ijo?si=bLklTHRgsQF1BTzn

 


#조한창재판관 #헌법재판소 #재판지연 #소추사유 #헌법가치 #재판관탄핵 #민주주의 #문영배재판관 #한동수변호사 #헌법재판관 #정치적중립성 #법적독립 #헌법학 #법적분석 #헌법가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