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세 전후, 다시 일할 수 있을까?
중장년층 맞춤 공공일자리 TOP10
안녕하세요, 지방시대 큐레이터입니다.
요즘 중장년 분들께서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게 있어요.
“60 넘어서도 할 수 있는 일자리 없을까요?”
정답은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어요.
“있습니다. 그것도 꽤 다양하게요!”
오늘은 국가 및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일자리’ 중 중장년층 참여 가능성이 높은 TOP10을 소개해드릴게요.
기초연금과 병행 가능 여부, 수익 구조, 신청방법, 실제 사례까지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 1. 공공일자리 정책 개요 – 왜 지금 중요할까?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OECD 중에서도 가장 빠른 편이에요.
그에 따라 정부도 ‘생계형 일자리’와 ‘사회참여형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어요.
현재 중장년·노년층 대상 일자리는 다음처럼 구분돼요:
-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보건복지부)
- 공공근로 및 지역공동체 일자리 (행정안전부/지자체)
- 노동부형 중장년 재취업 지원사업
- 기초연금 수급자용 소득 연계형 일자리 (겸직 가능)
👉 특히 만 60세 이상이면 ‘노인일자리’, 50대 후반이면 ‘중장년 재취업형 일자리’에 동시 지원 가능한 경우도 많아요.
🧾 2. 중장년 참여 가능 공공일자리 TOP10
1 | 노인맞춤돌봄 생활지원사 | 60~80만 원 |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방문 서비스 |
2 | 경로당 안전도우미 | 30~50만 원 | 지역 경로당 순찰·점검, 간단 행정 |
3 | 지역공공근로 | 70~90만 원 | 자치단체 공공시설 관리 등 단순 업무 |
4 | 학교급식도우미 | 60~90만 원 | 초중고 배식·청소, 계약직 |
5 | 지역아동센터 보조교사 | 40~80만 원 | 자격증 없어도 지원 가능 (지역별 상이) |
6 | 도서관 사서보조 | 60~100만 원 | 자료정리·안내 등 반복업무 |
7 | 농촌 일손 돕기 일용직 | 일 6~10만 원 | 계절형 단기 고소득, 체력 요함 |
8 | 환경미화 보조 | 60~100만 원 | 주로 오전·새벽 근무, 체력 필요 |
9 | 문화재 관리 지원 | 40~70만 원 | 문화재 안내, 주변 환경관리 |
10 | 전통시장 안전요원 | 40~60만 원 | 시장 내 시설순찰 및 안전교육 |
✔️ 대부분 건강한 60~74세까지는 활동 가능하고,
✔️ 기초연금 수령과 병행도 가능한 경우가 많아요.
🔍 3. 근무 조건, 신청 자격 정리
연령 조건 | 만 60세 이상 (일부는 만 65세) |
소득 조건 | 기초연금 수급자 우선, 일부는 무관 |
근무 시간 | 주 10 |
근무 기간 | 보통 5~11개월, 연장 가능 |
고용 형태 | 자치단체 위탁계약 또는 기간제 |
필요 서류 | 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등 |
신청 시기 | 연 1 |
👉 군청·구청 노인복지팀, 읍면동 주민센터, 복지관, 시니어클럽이 주관 기관이에요.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으로도 등록된 경우가 많으니 이 명칭도 기억해두세요.
🧑🔧 4. 실제 참여 사례 및 수익 구조
🌿 김모 씨 (63세, 경북 고령군)
- 참여 일자리: 생활지원사
- 근무 내용: 주 3회 방문, 어르신 안부 확인 및 기초 업무 대행
- 월 수입: 약 75만 원
- 기초연금 병행 수령: 가능
📚 이모 씨 (61세, 충남 서산시)
- 참여 일자리: 도서관 사서보조
- 근무 내용: 자료 정리, 열람 안내
- 월 수입: 약 65만 원
- 희망: “책 좋아해서 몸도 마음도 건강해졌어요.”
🗺️ 5. 지역별 신청처 및 꿀팁
서울 | 구청 복지과 or 시니어클럽 | 조기 마감 주의, 1월~2월 신청 |
경기 | 읍·면·동 주민센터 | 군단위는 노인복지관 통해 상담 |
충청 | 시니어클럽 or 일자리센터 | 여성 일자리 비중 높음 |
전라 | 노인일자리 통합지원기관 | 기초연금 여부에 따라 우선순위 |
경북 | 복지지원센터 or 군청 | 귀촌인도 동일하게 신청 가능 |
강원 | 보건소·복지관 중심 운영 | 방문 신청 필수, 온라인 지원 어려움 |
💡 팁!
- 미리 이력서·사진·주민등록등본 준비
- 온라인 사이트 [워크넷/복지로/지자체 홈페이지] 병행 확인
- 지자체의 ‘이음 일자리’, ‘동행 일자리’, ‘지역특화형 공공일자리’ 등 다양한 명칭으로 검색
👩 지방시대 큐레이터의 마무리 코멘트
우리 세대는 **“은퇴 후 놀지 않고도 사회와 연결되어 사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시기예요.
공공일자리는 단순한 ‘수입원’이 아니라,
사회와 다시 연결되는 문이기도 해요.
✔️ 건강하게 몸 움직이고,
✔️ 적당한 수입과 자존감을 유지하며,
✔️ 기초연금이나 창업자금과 병행하면
제2의 인생 설계가 훨씬 현실적이 됩니다.
📌 다음 편 예고
**" 10. 기초연금+배당소득으로 만드는 노후 현금흐름 "**를 준비하고 있어요.
궁금하신 점,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콘텐츠에 반영할게요.
늘 응원합니다. 지방시대 큐레이터였습니다 💚
음성으로 내용 듣기
https://youtu.be/IWwN1zh2fXY?si=FqzJIIHefyqaeFdv
여성을 유혹하는 강력한 아이템
네이버 스토어 가기 >>>
https://smartstore.naver.com/chsuwon/category/ab50eba418f54362a7dad7145ddb0d42?cp=1
뱃살제거 또는 당뇨환자에게 좋은 슈퍼곡물
쿠팡 바로 가기 >>>
https://m.site.naver.com/1GFZq
'지방 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1억으로 전원주택+텃밭, 가능한 지역은? (0) | 2025.08.23 |
---|---|
(7) 전국 10개 소도시 생활비 비교 총정리 (0) | 2025.08.23 |
(6) 이게 되네: 귀촌해서 월 70만원으로 살아가는 이야기 (0) | 2025.08.21 |
(5) 은퇴 후 창업, 소도시에서 하면 좋은 업종 10가지 (0) | 2025.08.18 |
(4) 🌳수도권을 떠나 지방에서 사는 사람들 (0) | 2025.08.13 |